관음보살은 불교에서 구원을 요청하는 중생의 근기에 맞는 모습 으로 나타나 대자대비심을 베푼다는 보살이다.주로 탱화에서 많이 다루는 불교미술기법으로 화려한 장신구와 부드럽고 생동하는 선의 미학을 표현하는데,나무결 특성의 한계가 있어 반입체적으로 각색했다.
산벚나무84×52×17cm
대한민국명장(제82호.가구제작) 소병진
느티(龍目)전주반닫이장
조선시대 귀족들이 사용했던 안방 가구
느티(용목), 참죽, 오동, 홍송고재90×42×72cm
대한민국명장(제65호.나전칠기) 손대현
국화문 건칠과기
새끼줄을 꼬아 기초적인 형태를 만들고 점토를 발라 틀을 만들고그 위에 생칠을 하고 베바르기를 수회 반복하여 기형을 완성한 작품으로나전을 끊음질로 국화문을 주칠을 하여 완성하였다.
황토, 삼베, 옻칠, 나전∅28×H21cm
대한민국명장(제27호.목공예) 권우범
괴목상감함
느티나무의 아름다운 무늬를 살리고, 앞판과 윗판에는 "매란국죽"을 목상감기법으로 6가지 나무를 사용하였고,
윗판 중앙에는 "쌍희자"를 흑단상감하였다. 앞바탕을 비롯한 장석은 백동으로 만들었고, 칠은 천연오일로 마감하였다.
이 작품은 경기도 문화재 원형기록사업에 촬영된 작품이다.
느티나무, 단풍나무, 괴목, 배나무, 참죽, 호두나무, 벚나무, 흑단45×24×24.5cm
대한민국명장(제20호.목공예) 제갈재호
산사의 추억
Detail은 Design이다(series 2 crossover)
Motive:풍경(風磬)
산사의 처마 끝에 매달린 풍경을 crossover 형식으로 재해석한 결과물
대나무, 참나무, 호두나무, 도자기60×90×20cm
대한민국명장(제596호.미용) 김교숙
Purple Princess (보라공주)
고난이도의 숙련이 필요한 작품으로 머리카락을 탈색 퍼플로 염색한 후 디자인한다.장식용 보석으로 포인트를 주어 작품의 완성도를 높였으며, 특별한 날의 환상적인 분위기를 연출함.
대한민국명장(제547호.미용) 정매자
얹은머리(트레머리)
조선 초기에는 일반적인 기생이라는 명칭보다는 기녀라고 명칭했다.기생은 궁중에서 의료 관계를 도와주는 약방 기생(藥房妓生)과 궁에서 바느질 관련 일을 도와주는 상방기생(尙房妓生)으로 나뉜다.1907년 기생제도가 폐지된 후 갈 곳 없는 기생들이 궁 밖의 요리점으로 나오면서 기생이란 명칭이 생겨난 것이다.
기녀머리는 크게 관기 (官妓)머리와 일반 기녀(妓女)의 트레머리 둘로 나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