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문화에 바탕을 둔 석등과 어린 해치를 조각하여
전통 공예의 길상의 의미를 담고자 하였다.
화강암(경주석)25×25×45cm
대한민국명장(제363호.석공예) 박종병
다보탑 석사자
일제 식민지 시대를 지나고 수탈당한 수많은 우리의 문화재 중석조문화재는 원형이 잘 보존된 것들을 도굴하고 밀반출하여 행방을 알수없다.
다보탑 보수 작업하며 우리문화재의 소중함을 느끼고
사라진 석사자상의 자료를 모아 잃어버린 다보탑 석사자를 재현하였다.
경주석240×270×640cm - 2set (사자와 좌대 2세트)
대한민국명장(제26호.석공예) 김상규
자연의 소리
자연의 신비로움과 아름다움을 대리석이라는 돌을 조각해 전달함.
대리석40×40×22cm
대한민국명장(제18호.석공예) 이재순
소녀
소녀상
20×20×30cm
대한민국명장(제695호.도자공예) 박병호
청자박지참새문호
참새는 예로부터 기쁜 소식을 전해주는 역할로 동양화에 자주 등장한다.
주 문양으로 참새를 박지기법을 사용하여 표현하고, 여백은 기하학적인 선으로 마무리하였다.
현대적인 디자인에 전통적인 장식기법을 사용하여 현대 감각에 맞는 작품을 만들고자 했다.
청자토35×35cm
대한민국명장(제676호.도자공예) 권영배
분청사기 보리문 항아리
분청사기 보리문 항아리 작품은 항아리 형태를 만들고 백상감을 바른 뒤 보리조각을 음각으로 하였다.
여름을 알리는 보리를 조각하여 풍요로움을 작품에 반영했다.
분청토, 상감(백상감, 흑상감), 분청유약43×43×43cm
대한민국명장(제649호.도자공예) 이계안
에메랄드 보석문 화병
불의 변화와 원료배합의 많은 연구와 노력를 통해
소성 과정에서 보석무늬 결정을 피워내는 작품입니다.
점토40×40×43cm
대한민국명장(제632호.도자공예) 장영안
청자이중투각상감매화문호
청자토를 사용한 물레성형으로 기물을 이중제작한 작품.상김기법 매화문양을 양각하여 화려함과 전통미를 부각시킨 작품이다.
청자토, 청자유약높이 27cm, 폭 35c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