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염색한 비단 천에 왕실을 상징하는 봉황무늬를 수놓고 자라줌치 형태로 제작하였다.
매듭의 술을 길게 늘어트려 우아함을 더하였다.
견사, 금사, 매듭각 38×4cm
대한민국명장(제258호.자수공예) 김나미
고이뎅기
부귀영화의 뜻을 담은 그림으로 혼례때 앞 양쪽 가슴 위로 내리우는 장식
명주, 명주색실90×40cm
대한민국명장(제180호.자수공예) 김태자
진주낭
왕비나 공주의 대례복에 노리개와 함께 달았던 장신구이다.세 송이의 매화와 잎새, 줄기 그리고 양 끝에 나비 한 쌍을 금사로 수를 놓고 진주를 달았다.
실크, 진주, 금사, 매듭38×70cm왕비나 공주
대한민국명장(제432호.귀금속가공) 김용희
서리꽃
연두빛 새싹으로 봄의 희망을 전하고 푸르른 잎으로 시원한 그늘을 만들어 주며
황금빛으로 붉게 물든 열정을 보여주던 잎새의 마지막을 깨끗하고 아름다운 서리꽃으로 전해 줍니다.
K18WG, 다이아몬드브로치
대한민국명장(제427호.금속공예) 변종복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국보 반가사유상은 입가에 띤 생기있는 미소, 자연스러운 반가좌의 자세, 부드럽고 유려한 옷자락,
손과 발의 섬세하고 미묘한 움직임 등 동양불교 조각사의 기념비적인 작품으로
이 작품 반가사유상은 현존하는 가장 아름다운 작품을 1:1 청동으로 재현하였다.
'청동' 색상 부식45×50×94cm국보 반가사유상
대한민국명장(제341호.귀금속가공) 이순용
한국의 야생화 봄맞이 꽃, 도시처녀나비
봄맞이 꽃은 들과 야산에 피어나는 작은 뽀얀 꽃, 새봄이 오면 누구나 마음이 설레인다.
모두가 좋은 행운을 기대하면서 또 한해를 시작하기를.
부롯지18k, DiA, 칼라DiA, 목걸이겸용
대한민국명장(제11호.금은세공) 진용석
공작새 세트
공작새가 비상하는 영감을 느끼는 작품
18K, 사파이어3×4cm
대한민국명장(제677호.석공예) 임일호
미래를 향한 비상
석질이 단단하고 입자가 고우며 음양을 선명하게 구분하여 정 다듬과 소형도드락 망치로 제작했으며,
코와 눈은 원색을 나타냈다. 희망찬 내일로의 도약을 바라는 마음을 사슴의 뿔에 담아 표현하였다.
보령 오석80×50×45cm